2025년 장기요양등급 체계 1등급 2등급 3등급 이용금액 비용 계산

2025년 장기요양등급 체계를 보기쉽게 정리한 글입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장기요양등급이라는 평가를 받아야만 합니다. 등급은 몸, 인지 상태 종합 평가를 한다음 1등급~5등급까지 나뉩니다. 등급별 증상도 확인해보세요.

 

2025년 장기요양등급 체계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으려면 장기요양등급이라는 평가를 받아야 합니다. 등급은 어르신의 몸과 인지 기능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점수에 따라서 1등급~5등급까지 나뉘는데요.

1등급이 제일 많은 도움이 필요한 상황이며, 숫자가 올라갈수록 필요한 돌봄 수준이 줄어든다고 보시면 돼요. 참고로 치매와 같은 인지 저하가 주된 문제인 경우 점수가 낮더라도 ‘인지지원등급’이라는 특별등급을 받을 수 있어요. 

1등급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는 일상생활을 할 수 없는 상태. 거의 모든 생활에 돌봄이 필요하고, 장기요양인정 점수가 95점 이상인 경우 해당돼요. 거의 누워지내는(와상상태) 노인분들은 여기 해당되겠죠.

2등급

상당 부분 다른 사람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으로, 점수 75점 이상 ~ 95점 미만에 속합니다. 앉거나 식사는 할 수 있어도 대소변, 목욕과 같은 여러 부분에서 보조가 필요해요.

3등급

부분적으로 도움이 필요한 상황으로, 점수 60점 이상~75점 미만에 해당돼요. 기본적인 일상 동작은 조금 할 수 있지만 일부 집안일이나 개인 위생 등 간헐적은 도움이 필요해요.

4등급

어느정도 도움이 필요한 상태이며, 점수 51점 이상 ~ 60점 미만에 속합니다. 가벼운 신쳉활동은 할 수 있어도 혼자 장보기나 약 복용 관리 등이 필요할때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겠네요.

5등급

치매 등으로 계속적인 도움이 필요한 상태인데, 점수로는 45점 이상~51점 미만일때 해당돼요. 경증 치매 환자분들이 주로 받는 등급으로, 신체는 비교적 양호해도 인지 문제로 돌봄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인지지원등급

경증 치매 환자분들이 받는 등급으로, 점수 45점 미만이지만 치매 진단이 있는 경우에 해당돼요. 이 등급은 위의 정식 1~5등급보다는 지원 범위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주로 주야간보호센터 이용이나 인지활동 지원 서비스 같은 것을 받을 수 있어요.

 

등급판정 기준 보기
 

각 등급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서비스 양과 종류가 달라집니다. 보통 1등급일수록 한달에 지원되는 서비스 시간(또는 금액)한도가 높구요. 등급이 낮아질수록 지원 한도가 줄어든다고 보시면 돼요.

예를 들어 2025년 기준 1등급 어르신은 월 최대 약 230만 6400원의 재가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고, 2등급은 약 208만 3400원까지 지원 받아서 집에서 돌봄 서비스 받을 수 있어요.

반면 인지지원등급의 경우 약 65만원 한도로 지원이 제한돼요. 물론 이 금액 전부를 본인이 납부하는게 아니고 앞에서 이야기했듯 대부분 공단에서(장기요양보험) 부담해줍니다. 이 한도 안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자유롭게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어르신과 가족의 필요에 맞춰서 탄력적으로 돌봄 계획을 짤 수 있어요.

 


등급별 이용금액 보기
 


비용 계산하는법
 

등급은 계속 바뀝니다

등급은 고정되는게 아니고 바뀔 수 있어요. 처음에 4등급을 받았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 어르신 상태가 안좋아지면 재신청해서 등급 상향 조정이 가능해요.(반대로 건강이 좋아져서 등급 하락하기도 함)

또 등급 판정에 이의가 있다면 30일 이내에 이의신청을 해볼수도 있구요.

 

장기요양 환급금 신청

장기요양 환급금 신청 포함해서 건강보험료, 지방세, 국세, 종합소득세까지 환급금 발생한거 없는지 꼭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환급금 안 찾아가는 분들이 너무 많아요.

 


장기요양 환급신청
 


건강보험료 환급 신청

병원비 초과사용시

전부 환급(100만원)


종합소득세 환급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메뉴 클릭

 


국세 환급

전체메뉴-납부고지환급-

국세환급-국세환급금찾기 클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