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기간 시간 장소 찾기 사전투표일 총정리

2025년 대통령선거 사전투표 정보를 정리한 글입니다. 매번 선거때마다 나오는 이야기인데도 막상 정확한 사전투표일, 사전투표 시간, 준비물 같은거 헷갈리기가 쉽죠.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드릴게요.

 

 

사전투표소 찾기(사전투표 장소 찾기)





 

사전투표소는 아래 사이트에서 조회하시면 돼요. 사전투표소는 5월 14일 공개, 본투표소는 5월 24일에 공개됩니다.


사전투표소 찾기
 

가까운 사전투표소 미리 확인해놓고 신분증 하나 챙기면 끝이니 일정 바쁜 분들은 꼭 사전투표 기간에 참여해주세요. 

 

사전투표란?

사전투표는 선거일전에 미리 투표할 수 있는 제도에요. 복잡한 신고 절차 없이, 전국 읍면동 사전투표소에 가기만 하면 바로 투표할 수 있어요.

2013년 부터 우리나라에 도입되었고, 그 전엔 지정된 장소에서만 가능했죠. 하지만 이제는 주소지 상관없이 전국 어디서나 할 수 있기 때문에, 직장인, 대학생, 여행자 등 누구에게나 유용하죠. 사전투표 미리 해놓고 본투표 당일날은 여유있게 쉬는 분들이 많습니다.

 

2025년 대통령선거 사전투표일 언제?





 

이번 제21대 대통령선거 사전 투표 기간은 아래와 같아요.

  • 사전투표일: 2025년 5월 29일(목) ~ 5월 30일(금)
  • 사전투표 시간: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양일 동일)
  • 이틀 동안 진행되며 아무때나 가서 투표하시면 돼요.

 

사전투표 누가할 수 있을까?

기준 단순합니다. 2025년 6월 3일 선거일 기준 만 18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능해요.

  • 즉, 2007년 6월 4일 이전 출생자부터 투표권이 주어집니다.

 

사전투표소는 어디에 있을까?

사전투표소는 전국 모든 읍면동에 설치 돼요. 내가 사는 지역이 아니어도 됩니다.

  • 관내선거인: 내 주민등록 주소지와 같은 지역에서 투표
  • 관외선거인: 다른 지역(출장, 여행지 등)에서 투표

관내와 관외에 따라 절차가 약간 달라요.

관내선거인 투표 절차

  1.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2. 투표용지 수령
  3. 기표소에서 투표
  4. 투표함에 넣고 퇴장

관외선거인 투표 절차

  1. 신분증 제시 및 본인 확인
  2. 회송용 봉투와 투표용지 수령
  3. 기표 후 봉투에 넣고 봉함
  4. 투표함에 넣고 퇴장

관외투표는 봉투째 본인 주소지 관할 선관위로 보내지기 때문에, 본투표일에 정상 반영됩니다.

 

사전투표할때 준비물은?





 

신분증 하나만 있으면 됩니다. 단, 얼굴과 생년월일을 확실히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요. 신분증 종류는 아래와 같아요.

  • 주민등록증
  • 운전면허증
  • 여권
  • 공무원증
  • 국가기술자격증
  • 학생증(각급 학교 포함)
  • 모바일 신분증도 가능(예: PASS, 네이버 자격증, 카카오톡 지갑 등)

※캡쳐 이미지 저장본은 인정되지 않아요. 반드시 어플 실행 화면을 직접 보여줘야 합니다.

 

사전투표기간 경찰 경계 강화 체제 가동

경찰은 5월 29~30일 사전투표일 맞춰서 경계 강화 체제를 가동해요. 선거 당일인 6월 3일에는 갑호비상 발령으로 경찰력 100% 동원 예정입니다.

선거 범죄(금품수수, 허위사실 유포, 선거폭력 등)에 대해서 강력 대응하구요. 유권자가 안심하고 투표할 수 있게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고 하니 안심하고 투표해도 될 것 같네요.

 

공식선거운동기간

공식선거운동기간이 따로 정해져 있고, 확성기나 연설, 대담도 아무 시간에나 사용하면 안됩니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세요. 


공식선거운동기간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