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정엄마 산후도우미 지원금 본인부담금을 참고할 수 있는 페이지입니다. 더불어 지원금액과 정부지원금 지원방식, 건강관리사 교육 받는법과 등록 과정까지 모두 정리되어 있습니다.
친정엄마 산후도우미 지원금 본인부담금
친정엄마 산후조리 지원금 본인부담금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원유형 및 소득수준에 따라서 지원되는 방식이며, 전체 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금액이 본인부담금이에요.
본인부담금 보러가기
친정엄마 산후조리 지원금이란?
- 산모신생아건강관리사 지원사업은 출산한 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모가 빠르게 회복하거나 아이 양육을 지원하고, 출산가정의 경제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것
- 2025년부터 친정엄마가 딸 산후도우미로 일하는 경우 정부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됨
- 친정엄마나 가족(현제자매, 생계를 같이하는 시어머니 등)이 건강관리사 교육 받고 자녀 산후조리를 돕는 방식
친정엄마 산후도우미 지원금액
- 지원금액: 산모가 10일에 44.2만원 부담시 정부가 98.2만원을 지원하여 총 107만원의 친정엄마 산후도우미 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제도(첫째아이/표준형 기준)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지원방식
- 바우처 사용 기관을 통해 지원하는 형식은 가능하나 산모가 친정 어머니께 부탁해 직접 산후조리 받는 형태로는 정부지원금 지원 불가
- 절차: 산모가 인력 제공 기관에 산후도우미 정부지원금 바우처 신청을 한뒤, 기관에서 친정 어머니 등 가족 매칭
- 예상 소요 기간: 약 4주~6주
- 출산 예정일 최소 한달반 전에는 교육 신청해야함
건강관리사 자격증 교육 필수
- 가사관리사 자격을 얻기 위해선 지역 내 보건복지부 인증 기관을 통해 교육 필수
- 교육기간: 신규자 기준 60시간, 경력자 기준 40시간(경력자는 요양보호사, 간호조무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자격 or 면허 소지자)
- 신규자 8일, 경력자 5일
- 이론+현장실습 강의로 진행되며, 산모 및 신생아를 위한 건강관리 및 케어방법, 산모 식단 조리방법, 아기 수유하는법 및 목욕방법, 돌보는법, 집안 정리 방법 등 최근 트렌드에 맞춰 교육받은뒤 수료증 받으면 완료
- 교육 비용: 15~20만원 정도 들지만 가사관리사로 400시간 이상 근무하면 대부분 환급됨
건강관리사 친정엄마 등록 필수
- 친정엄마 산후도우미 지원금 수령을 위해서는 교육을 받고 난후 각종 서류를 준비해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시스템에 등록해야함
- 등록 신청을 위해서는 보건증, 마약검사, 질병 접종증명서 제출 필수 및 아동학대 예방교육 이수해야함
- 친정엄마가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이트 통해 관할 지역 업체 찾은뒤 서류 등록하면 인력 등록 완료
등록 하러가기
- 그후 산모가 해당 업체로 연락하여 산후도우미 지정을 하면 신청 완료
첫만남이용권 5분컷 신청
아동수당 신청
부모수당 신청
가정양육수당 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