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출산급여 신청을 받고 있어요. 본인 뿐 아니고 배우자도 출산휴가급여를 지원하기 때문에 조건에 맞는지 둘러보신뒤에 꼭 신청기간 내에 접수해보셔요. 부부 모두가 해당된다면 같이 신청하시면 됩니다.
서울시 1인 자영업자 출산급여 신청
서울시 자영업자, 프리랜서 출산급여 및 그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신청은 아래 사이트에서 접수하시면 됩니다.
출산급여 신청
출산휴가급여 신청(배우자)
v 서울시 자영업자 임산부 지원 총액: 150만원+90만원 =240만원 보장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신청(정부지원)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은 출산급여 150만원을 여기서 신청하실수 있어요. 정부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정부+지자체 지원 같이 중복으로 받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고용보험 출산급여 신청
v 50만원씩 3개월간 지원
v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플랫폼 종사자, 노무 제공자 등
함께보면 좋은 소상공인 환급 지원금
그동안 수수료를 내야 했던 환급서비스가 전면 무료로 바뀌었습니다. 아래 종합소득세 원클릭 서비스 조회해서 내 앞으로 환급 내역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바로 입금 받으세요. 저 100만원 넘게 나왔습니다.
종합소득세 환급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메뉴 클릭
국세 환급
전체메뉴-납부고지환급-
국세환급-국세환급금찾기 클릭
건강보험료 환급 신청
병원비 초과사용시
전부 환급(100만원)
2025 소상공인 긴급자금 신청
2025 소상공인 경영안정자금 신청
2025 생활안정자금+이자지원 대출(기업은행협약)
근로복지공단과 ibk기업은행이 협업하여 최대 3%까지 이자를 지원해주는 대출로, 최대 1천만원까지 신청할 수 있습니다. 결혼, 자녀 양육등으로 생활 필수자금이 필요하다면 저금리로 이용할 수 있으니 신청하셔요!
바로 신청하기
- 이자 지원: 최대 3%
- 한도: 최대 1천만원
- 시행시기: 25년 5월 2일~
- 지원대상: 1인 자영업자, 중위소득 이하 근로자, 노무제공자
- 중위소득 이하 근로자/노무제공자/1인자영업자
- 혼인신고 후 1년 이내 or 7세 미만 영유아 양육중인경우 신청 가능
- 3인가구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근로자인경우 이 상품외에도 기존 생활안정자금 대출 중복신청 가능(맨 위에 안내)
중위소득 50% 확인
서울시 1인 자영업자 출산급여란?
- 서울시에서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도 출산휴가를 보낼 수 있도록 지원
- 25년 3월 11일부터 신청 가능
- 카페, 네일샵, 미용실 등 나홀로 자영업자 사장
- 노무제공자(보험설계사 및 학습지 강사 등)
지원대상
- 1인 자영업자/프리랜서/노무제공자 출산급여 지원
- 1인 자영업자의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지원
서울시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출산급여
- 출산한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는 임산부 출산급여 접수를 통해서 지원가능
- 기존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위에 신청링크 있음) 고용보험 미적용자 출산급여 150만원+ 서울시 지원 90만원 합쳐 총 240만원 지원받는 것임
- 쌍둥이와 같은 다태아 출산하는 경우 서울시 170만원 지원으로 총 320만원을 지원받음
- 지원금액: 90만원
- 신청하는날 기준으로 신청자와 출생한 자녀가 서울시로 주민등록 되어 있어야 함
자영업자 프리랜서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
- 출산한 배우자가 있는 1인 자영업자와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플랫폼종사자에 속하는 경우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최대 80만원 신청 가능
- 지난해 4월 22일 이후 출산해야함
- 서울시에서 살고있는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해당
- 지원대상: 출산한 배우자가 있는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노무제공자
- 지원금액: 80만원
- 아내 소득 및 직업과는 무관
- 부부가 임산부 출산급여, 배우자 출산급여 조건 각각 만족하는 경우 2가지 지원금 전부 신청 및 지원 가능
- 지원자격: 배우자 출산일로부터 90일 안에 배우자 출산휴가(10일) 사용 필수
- 신청일 기준 신청자와 배우자, 출생 자녀 전부 서울시에 주민등록되어 있어야 함
- 출산일 이전 18개월 중 석달이상 소득활동 필수
부부 모두 지원대상일때
- 부부 모두가 1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등에 해당하거나 배우자에 해당하여 전부 신청기준에 만족하는 경우 각각 지원해서 신청하면됨
신청기간
- 임산부 출산급여: 출산일로부터 1년 안에 신청 접수
-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출산휴가 종료일로부터 1년 안에 신청 접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