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보험료 계산 및 납부 방법

노인장기요양보험료 계산 및 납부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평소 이 금액을 납부한적이 없고, 따로 어딘가에 가입해야 한다고 오해하는 분들도 있는데 이거 우리 전부 자동으로 가입되어 있는 상태에요. 매달 내는 건강보험료 안에 장기요양보험료 금액도 포함되어 있고, 따라서 자동 가입 및 매달 납부하고 있기에 인정 신청만 받으면 이용할 수 있어요.

 

노인장기요양보험료 계산 및 납부 방법





 

나는 노인장기요양보험에 가입한적이 없는데? 하고 의아하신분 있을 텐데요. 노인장기요양보험은 우리 전부 자동으로 가입이 되어 있어요. 건강보험료에 일부 포함된 형태로요.

직장인이든, 지역가입자든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매달 내는 건강보험료를 통해서 장기요양보험료도 같이 내고 있는 거에요. 즉, 노인장기요양보험료를 따로 낼 필요는 없고 건강보험료 고지서에 합산해서 나오는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장기요양보험료율

2025년 현재 건강보험료 대비 장기요양보험료 비율(장기요양보험료율)은 12.95%로 책정되어 있어요. 예를 들어 건강보험료료 10만원을 납부한다면, 그중 약 12,950원 정도가 장기요양보험료인 셈입니다.

이걸 소득 대비로 환산하는 경우 소득의 0.9181% 수준이며, 2024년에 이어서 2025년인 올해에도 인상없이 동결되었습니다(가계부담을 줄이기 위한 조치).

직장인은 건보료를 회사와 반씩 내기 때문에 실제 월급에서 빠져나가는 금액은 절반이라고 보시면 되며, 지역가입자도 건강보험료 고지서에 같이 합산해서 청구되는 형태에요. 건보료 고지서 보시면 한쪽에 ‘노인장기요양보험료’라고 되어 있을 거에요.

따라서 노인장기요양보험 돌봄을 받으실때 따로 신경쓰거나 내야할 돈이 있는것은 아니며, 우리가 매월 내는 이 보험료를 통해서 우리 부모님 세대 돌봄 재원으로 사용되고, 향후에 우리가 나이가 들어서 도움이 필요할때 나중세대가 내는 보험료로 다시 돌봄을 받는 식으로 시스템이 되어 있다고 보시면 되겠네요.

 

장기요양 환급금 조회/신청

혹시 나도 장기요양환급금 조회 대상에 해당하는지 바로 조회해보세요. 별도로 신청 안하면 절대 못 받아요.

 


장기요양 환급신청
 


건강보험료 환급 신청

병원비 초과사용시

전부 환급(100만원)


종합소득세 환급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메뉴 클릭

 


국세 환급

전체메뉴-납부고지환급-

국세환급-국세환급금찾기 클릭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