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득 건강보험료 조심해야 합니다. 보통 종합과세를 걱정하는데 세금보다 더 빨리 늘어나는게 바로 건보료에요. 금융소득이 일정 기준을 넘어가면 별도로 건보료가 부과되거든요.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 및 대상 확인 방법, 건보료 산정방식, 건보료 줄이는법 정리해 볼게요.
금융소득이란?(종합과세 기준 먼저 확인)
금융소득이란 예금이자나 주식 배당금처럼 돈이 일해서 벌어주는 수익을 말해요. 이런 소득이 1년 합산 2000만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과 합산되어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다만 큰 걱정은 안하셔도 되는게, 이미 금융소득은 15.4% 세금이 자동으로 떼이기 때문에(분리과세), 다른 소득이 적은 분들의 경우 추가 납부할 세금이 거의 없거나 아주 적어요.
예를 들어서,
- 연간 금융소득 3천만원이면 초과분 1천만원만 종합과세 대상입니다.
- 이때 소득합산 기준에 따라서 추가 세금이 아예 없을수도 있어요
- 자세한 내용은 위 분리과세 참고
다만 고소득자라면 누진세 적용되어 세부담이 늘 수 있으니 주의하셔요.
나도 대상자? 확인방법
진짜 무서운건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금융소득 종합과세 기준은 2천만원부터인데, 건강보험료는 1천만원만 넘으면 부과 대상이 돼요.
직장가입자든 지역가입자든 상관없이 금융소득이 기준을 넘기면 건보료가 추가됩니다. 예를 들어 볼게요.
예시)
- 금융소득 3천만원: 월 건보료 약 20만원 추가
- 금융소득 7천만원: 월 건강보험료 약 47만원 부과
특히 이거 1회성이 아니구요. 몇개월~몇년간 계속 유지되는거라 부담이 더 큰 구조에요.
금융소득 포함 항목
단순히 이자, 배당만 생각하시면 안되구요. 다양한 투자상품에서 나오는 수익중에 일부는 금융소득으로 잡히고, 일부는 잡히지 않으니 아래 내용을 참고하셔요.
포함되는 소득 예시
- 예적금 이자
- 국내외 주식 배당금
- 채권 이자
- 채권형 ETF 수익
포함되지 않는 소득 예시
- 국내 주식 매매 차익
- 해외 직접 투자 주식의 차익
- 채권 매매 차익
특히 ETF는 종류에 따라서 배당소득이 되는게 있고, 안되는게 있기 때문에 상품 투자하기 전에 확인 필수입니다.
직장인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부과 주의하세요
나는 회사다니니까 괜찮겠지? 이렇게 생각하시면 위험해요.
직장가입자라도 금융소득이 3천만원을 초과하면 기존 보험료 외에 ‘소득월액 보험료’가 별도로 추가되거든요.
금융소득 건강보험료 줄이는법 +세금 절세 방법
아마도 이 내용이 제일 궁금하셨을 텐데요. 건보료랑 세금 줄이려면 아래 방법대로 하시면 돼요.
- 비과세 혜택 계좌 적극 활용
- 금융소득 분산 전략
자세한 내용 따로 정리해 두었으니까 확인해 보세요. 이렇게 하는거랑 안하는거랑 월 몇십만원 차이가 납니다.
건보료 줄이는법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