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도퇴사자 연말정산 5월 신고 필수 7월 12월 중간 퇴직자 환급 기간 방법 전부 알려드려요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5월 신고 꼭 해야 하는 이유 및 환급금 신청 방법을 정리한 글입니다. 중간에 퇴사했다고 연말정산이 끝난게 아니에요. 5월 종합소득세 신고로 보험료, 의료비, 카드공제까지 적용해 환급받을 수 있어요! 중간퇴직자라면 반드시 확인하셔요.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퇴사했다고 끝! 아니에요





 

직장 다닐때는 매달 월급에서 세금을 선납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퇴사 시점의 급여만 기준으로 회사가 급하게 연말정산을 처리하다보니, 공제 항목이 빠지는 경우가 흔해요.

예를 들어 보험료 공제, 의료비 공제, 교육비 공제, 신용카드 사용액 같은 항목들이 누락되면 돌려받을 수 있는 세금도 줄어들게 되죠.

→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5/1~6/2) 동안 본인이 직접 신고하면 더 많이 환급받을 수 있어요.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인지 바로확인
 

퇴사 후 상황별 연말정산 정리





 

퇴직자 연말정산 상황별로 어떻게 해야하는지 알려드릴게요.

퇴사 후 이직한 경우

  • 새 회사에 전 직장의 원천징수영수증 제출
  • 두 회사 소득 합산 후 정산
  • 누락되거나 오류 있으면 5월 종소세 신고로 정정 가능

퇴사 후 무직 상태

  • 근로소득은 있었지만 현재 무직이라면, 홈택스나 세무서에서 직접 종소세 신고 필요
  • 이대 빠진 공제 항목 꼼꼼히 챙기면 환급 확률 높음

비과세 소득만 있을 경우

  • 식대, 육아휴직수당, 운전보조비 등은 비과세 항목

→ 신고 대상 아님, 안 해도 됨

퇴사 직전 회사가 연말정산을 제대로 해준 경우

이 역시 5월 신고 안해도 ok. 하지만 공제 누락 여부는 본인이 확인하는게 안전합니다.

 

잠깐!! 퇴사자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 건강보험료 환급금(본인부담상한제 등 병원비 과다 지급 포함)
  • 지방세 환급금
  • 국세 환급금
  • 의료비 환급금

본인인증 1번이면 숨은 돈 한꺼번에 찾아서 입금받을 수 있어요! 3년 지나면 없어집니다. 5종 세금 한번에 조회해 보세요!


연말정산 환급금 조회
 

 

중도퇴사자 연말정산 5월 공제기준 이거 꼭 알아두세요

‘근무기간 중’지출만 공제 가능해요.

  • 의료비, 보험료, 교육비, 신용카드 사용액 등: 퇴사 후 지출 불가, 근무중일때만 공제 가능
  • 연금저축, 기부금, 소기업소상공인공제부금: 퇴사 후 공제 가능

<예시>

8월에 퇴사하고 9월에 병원비? 공제 불가합니다.

퇴사하고 카드 많이 사용? 공제 불가합니다.

잘못 입력하면 되려 가산세 등 불이익 생길 수 있으니 주의하셔요.

 

중간 퇴직자 퇴사 시점별 환급 얼마나 될까?





 

7월 퇴사자

  • 퇴사시 퇴직자 연말정산 미처리 됐다면: 5월 신고 필수
  • 근무기간 짧고 공제 항목 많다면 환급금 기대해볼만함(1년을 다 채우지 않았으므로)

12월 퇴사자

  • 회사가 정산 완료했다면 끝
  • 누락됐거나 미처리된 경우: 5월에 반드시 신고
  • 1년치 소득 기준으로 혜택 챙길 수 있음

 


더 쉬운설명 보러가기
 

퇴사자 연말정산 5월 환급 확률 높은경우

  • 연봉 3400만원 이하
  • 카드 사용 많이 한 경우
  • 병원비, 교육비 지출 많음
  • 연금저축, irp 납입한 경우

위와같은 경우에 실제 30~50만원씩 환급받은 지인들이 많아요.

 

중간 퇴직자 연말정산 퇴사했다고 끝이 아니에요. 5월 신고 꼼꼼히 챙겨서 환급금 크게 돌려받으시기 바랍니다.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
 


종소세 신고방법 보기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