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 계산하기 어려우시죠. 최근 친구가 월세 수입으로 연 1500만원 정도 벌었는데 세금이 얼마나 나올지 물어보더라구요. 이럴땐 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 적용 여부를 확인해보면 됩니다.
주택임대소득도 과세 대상이에요
연 2천만원 이하 주택임대소득도 세금을 내야 합니다. 단, 아래 조건이면 14%의 단일 세율로 분리과세를 선택할 수 있어요.
- 월세+간주임대료 합산 2000만원 이하
- 분리과세 또는 종합과세 중 선택 가능
분리과세가 뭔지 헷갈리신다면?
쉽게 알려드릴게요
주택임대소득 분리과세 예시
- 김씨: 연 1800만원 수입, 임대사업자 등록
- 분리과세 가능. 필요경비율 60%, 공제 400만원
- 임대소득세 계산방법: (임대수익금액 – 필요경비 – 공제금액) x 14%
- 과세 소득 320만원으로 세금 44만원 나옴
- 최씨: 연 2500만원 수입
- 종합과세만 적용. 다른 소득과 합산해 세율 최대 45% 적용
종합과세 세율이 궁금하다면?
등록유무에 따른 절세효과
- 등록임대주택: 필요경비율 60%, 공제금액 400만원
- 미등록임대주택: 필요경비율 50%, 공제금액 200만원
- 등록만 해도 세금이 확 줄어듭니다. 단, 4년 이상 임대 유지 조건 안지키면 추징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
더 쉬운설명 보기
배당소득도 분리과세 가능!
주택임대소득 외에도 예금이자, 배당소득도 일정 조건을 만족하면 분리과세 가능해요. 배당소득의 경우 2000만원 이하일때 15.4% 분리과세가 적용돼요!
배당소득 분리과세
잠깐! 환급금 신청하세요 5종 세금 환급 조회
약 2500억 상당의 세금 환급금이 쌓여있는데 주인들이 이걸 모르고 안찾아갑니다. 소멸기한은 3년에서 5년. 내앞으로 얼마나 쌓여있는지 아래 건보료와 종소세, 의료비, 지방세, 국세를 전부 각각 조회해서 찾아가세요. 실제로 30만원 나왔습니다.
지방세 환급
(자동차세 등 모든 지방세)
병원비 환급
병원비 초과 사용한경우
초과분 전부 환급
건보료 환급
간편로그인으로 빠르게
(자주찾는서비스-
환급금조회/신청)
종합소득세 환급
‘종합소득세 원클릭 환급신고’
메뉴 선택
국세 환급
전체메뉴-납부고지환급
-국세환급-국세환급금찾기 선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