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생계지원금 신청 방법과 지급일, 지원금액, 연장 방법을 총정리 했습니다. 갑작스러운 소득 단절이나 위기 상황으로 생계가 어려운 분들을 위한 정부의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제도를 알려드릴게요. 혹시라도 지금 생활이 힘들 정도의 위기 상황이라면, 지금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세요.
저 37만원 환급받았어요
작년치 병원비가 내 소득 기준 상한액을 넘으면 자동 환급 대상! 기간 지나면 못 받으니 지금 바로 의료보험 환급금 조회해보세요.
환급금 조회
정부 빚탕감 대상자 조회
연체, 독촉, 추심 때문에 힘드신가요? 정부가 장기 연체자들 대상으로 최대 5천만원까지 채무를 없애줍니다. 정부 빚탕감 대상자 조건 지금 바로 확인해 보세요.
빚탕감 조회
긴급생계지원금 신청 방법 5분컷
긴급생계지원금 신청 방법과 2차 연장 신청 하는법(재신청), 지급일, 입금시간을 한번에 조회 가능합니다. 지금 상황이 너무 힘든 분들이라면 꼭 신청해 보세요. 정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신청방법
2차연장방법
지급일/시간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누구에게 지원되나요?
이 긴급생계지원금은 단순히 소득이 적다고 무조건 받을 수 있는 건 아닙니다. 실제로 생활이 위기에 청한 경우에 한해서 ‘긴급’하게 지원됩니다.
다음과 같은 사유가 있다면 해당될 수 있어요.
· 가족의 갑작스런 사망, 질병, 사고, 실직 등으로 소득이 끊긴 경우
· 화재나 침수, 자연재해로 집에서 살 수 없게 된 경우
· 이혼, 가정폭력, 보호시설 퇴소 등으로 혼자 살아가야 하는 경우
· 수입이 아예 끊겨 당장 생계가 곤란한 상태인 경우
· 범죄 피해, 주거불안, 복지시설 퇴소 등 기초생활이 무너진 상태 등
저희는 아버지의 갑작스런 뇌졸중으로 인해 수입원이 사라졌고, 치료비와 병간호로 다른 가족들도 일을 중단한 상황이었습니다. 이런 사유로 긴급생계지원 대상에 포함될 수 있었어요.
긴급생활지원금 소득/재산 조건은 까다롭지 않나요?
기준은 생각보다 높지 않습니다.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더라도, 중위소득의 75% 이하라면 가능성이 있어요.
각 가구원수별 월소득 기준
- 1인 가구: 월 179만 4010원 이하
- 2인 가구: 월 301만 1481원 이하
- 3인 가구: 월 387만 9534원 이하
- 4인 가구: 월 457만 3330원 이하
- 5인가구: 월 523만 6509원 이하
- 6인가구: 월 586만 6417원 이하
재산 기준
재산은 일반재산+금융재산-주거용 재산 공제 – 부채를 계산하여 나온 값이, 아래 지역별 기준금액 이하이면 조건을 만족합니다.
- 대도시: 2억 4100만원 이하(공제 한도액 6900만원)
- 중소도시: 1억 5200만원 이하(공제 한도액 4200만원)
- 농어촌: 1억 3000만원 이하(공제 한도액 3500만원)
금융재산 기준
금융재산에는 예금, 적금, 펀드, 보험해약환급금, 주식 등이 포함됩니다.
- 1인가구: 8,392,000원 이하
- 2인가구: 9,932,000원 이하
- 3인가구: 11,025,000원 이하
- 4인 가구: 12,097,000원 이하
- 5인 가구: 13,108,000원 이하
- 6인 가구: 14,064,000원 이하
※ 7인 이상 가구: 1인 추가시마다 86,9000원씩 증가
주거비 지원을 위한 경우 금융재산 기준에 +200만원을 추가 적용합니다.
<4인가구 예시>
일반 생계지원: 12,097,000원 이하
주거지원 목적: 14,097,000원 이하
긴급생계지원금 어떤 지원을 받게 되나요?
생계에 꼭 필요한 식비, 의복비, 냉방비 등이 지원됩니다. 가구 인원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긴급생활지원금을 현금으로 매월 지급받을 수 있어요.
- 1인 가구: 730,500원
- 2인 가구: 1,205,000원
- 3인 가구: 1,541,700원
- 4인 가구: 1,872,700원
- 5인 가구: 2,186,500원
- 6인 가구: 2,485,400원
- 7인 이상: 1인 추가당 289,700원씩 추가
예전에는 냉방비는 별도로 나왔지만, 2021년부터는 냉방비도 생계비에 포함되어 한번에 지급됩니다.
이 긴급복지 생계지원금으로 병원비 일부도 충당할 수 있었고, 무엇보다 생활비 압박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었어요.
긴급생활지원금 신청 방법 알려드려요.
동주민센터(행정복지센터)에서 상황을 파악한 후 직접 연락이 오거나, 내가 먼저 찾아가도(본인 또는 관계인의 지원요청 및 신고 요청) 직접 심사 및 지원이 이루어집니다.
예를 들어 이런 절차로 진행돼요.
- 조사 및 상담: 담당 공무원이 가정 형편 확인
- 대상자 선정: 심사 후 지원 여부 결정
- 지원금 지급: 통장으로 매월 지원
- 사후 관리: 상황 변화 시 추가 조정 가능
혹시 기준이 애매하거나, 누락됐다고 생각된다면 이의 신청도 가능하니 너무 걱정 마세요.
긴급생계지원금 연장(2차)
긴급생계지원금 2차 신청, 즉 연장 방법 알려드릴게요.
- 1차 승인시: 기본 3개월(3회차) 자동 지급. 별도의 추가 신청 필요 없음
- 2차 신청시: 새로운 사유나 동일 사유로 재신청 가능. 단, 재산/소득/거주지 조사가 다시 진행됨
- 지자체별 차이 큼: 예산 상황이나 내부 규정에 따라 연장 여부 달라짐
- 어떤 지역은 최대 6회차까지 가능
- 반대로 예산 부족시 연장 불가
- 신청 시점: 3회차 모두 받기 전에 미리 문의 후 연장 신청하는 것이 안전
- 주의: 2차 신청은 조건이 더 까다롭고, 지자체에서 아예 접수를 안 받는 경우도 있음
결론: 1차는 자동 3개월 보장, 그 이후는 지자체 예산/조건 따라 연장 여부가 달라짐
긴급복지 생계지원금 지급일
- 2회차 지급 시점: 1회차 지급일로부터 약 30~40일 후.
- 입금 패턴:
- 보통 1차 지급일과 같은 날짜에 맞춰 입금되는 경우가 많음
- 하지만 지역, 예산 상황에 따라 늦어질 수 있음(문자로 안내됨)
- 차수별 지급: 3회차까지는 대체로 비슷한 날짜에 입금됨(앞뒤로 3~4일 차이 발생 가능)
지급일은 보통 일정하게 나오지만, 공휴일/예산 사정으로 변동될 수 있으니 담당 부서에 직접 확인하는것이 가장 확실합니다.